공간지기에서 그동안 우리 모두의 자료집 편집과 간행을 담당해 왔었습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자료집의 분량은 나날이 늘어가는 추세이며, 그 내용에서도 많은 부분이 필요때문에 추가, 변화되어 편집에 있어 많이 미흡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는 그간 간행되었던 자료집에 존재하는 오타, 일관되지 않은 형식, 내용상의 오류 등의 부분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는 공간지기가 편집에 소홀했기 때문이 아니라, 작성자가 아니고서야 알기 힘든 출처의 누락이나, 내용상의 어긋남, 자잘한 형식의 편집을 턱없이 모자란 소수의 인원이 담당해왔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생길 수밖에 없는 문제입니다. 이러한 연유로 이번에 공간지기에서는 새로운 편집 절차를 제안하고자 합니다. 아래의 매뉴얼을 따라 작성자는 자신의 문서를 작성하고 잘못된 부..

들어가며 세부적인 내용으로 들어가기 전에 우선적으로 행해저야 하는 기본적인 내용에 대해서 다루어 보겠습니다. 기본적인 편집과 관련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살펴보시고 해당사항에 대해서 편집해 주십시오. (그림을 클릭하시면 보다 큰 그림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용지의 설정이 B4용지의 크기로 잘 설정되어 있습니까? 자료집의 문서는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A4가 아닌B5의 용지에 인쇄가 되어 출력이 됩니다. 따라서 자료집에 실릴 문서는 당연히 B5 크기의 용지에 맞춰 작성이 되어야 합니다. 만약 B5의 크기가 아닌 A4용지 크기로 작성하였을 경우 B5 크기로 뒤늦게 편집하는 과정에서 그림이나 표의 위치, 기타 여백들이 제자리를 벗어나 낭패를 보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여기서는 편집용지를 B5 크..

그림과 관련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살펴보시고 해당사항에 대해서 편집해 주십시오. (그림을 클릭하시면 보다 큰 그림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그림이 글씨와 너무 딱 붙어 있지는 않습니까? 그림을 삽입하고 나면 아래처럼 글씨와 너무 딱 붙어 보기가 좋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이를 고의적으로 띄어쓰기나 줄바꾸기(Enter)를 사용하여 수정할 경우에는 문서의 편집시 그림이 이동할때 글씨들이 제멋대로 망가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고의적인 띄어쓰기와 줄바꾸기가 아닌 그림의 바깥에 여백을 주어 그림과 글씨가 서로 붙지 않도록 설정해 주고 있습니다. 여기서는 바깥 여백에 대하셔 설명해 드릴까 합니다. ① 이번에 여백을 줄 그림으로는 아래의 빙혈을 대상으로 하겠습니다. 아래의 그림에서 보이..

표와 관련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살펴보시고 해당사항에 대해서 편집해 주십시오. (그림을 클릭하시면 보다 큰 그림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표가 그림으로 삽입되어 있지는 않습니까? 표는 이미지(그림)가 아닌 표의 형태로 삽입을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것은 권장사항입니다. 꼭 지켜야 할 것은 아니지만, 보다 양질의 자료집을 만들기를 원하는 분이라면 이를 지켜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미지로 표가 되어있을 경우를 살펴봅시다. 우선 아래의 것이 바로 이미지로 된 표입니다. 처음에는 전체자료집아 아닌 논문상의 표번호가 붙어있었기 때문에 이미지파일을 그림판에서 열어서 직접 수정해 주어야 했습니다. 이미지파일로 된 표의 경우에는 수정을 하기 위해서는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그림판, 포토샵 등의 프로그램을 사용..

출처표기와 관련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살펴보시고 해당사항에 대해서 편집해 주십시오. (그림을 클릭하시면 보다 큰 그림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출처표기의 순서가 틀리지는 않았습니까? 제일 간단하면서도 많은 사람들이 틀리는 출처표기법의 첫번째인 그 순서입니다. 출처표기를 하려고 생각하면 막상 무엇을 먼저 표기해야 할지 난감하기도 합니다. 지난 자료집이 있는 사람은 그것을 참고로 하면 되겠지만, 여기에 그 순서를 한번 기재해 봅니다. 출처표기는 아래와 같은 순서로 진행됩니다. 논문 및 단행본의 출처 기본양식 논문 및 단행본의 출처 표기는 출처 표기 중에서 가장 먼저 나오는 것입니다. 논문 및 단행본의 출처 표기 순서가 중요한 이유를 꼽으라면 아마도 그림 및 표 또는 인용문의 출처표기시 이것이 논문이나 단..

전반부에서 다루었던 편집양식은 총편집을 담당하는 공간지기 뿐만 아니라, 답사에 참여하는 사람 모두에게 해당하는 내용입니다만, 이번 내용은 공간기지가 총편집을 할때 일정과 타임테이블의 맞은 페이지에 추가할 루트맵을 작성하는 요령에 대한 내용입니다. 루트맵의 작성 자체는 그다지 어렵지 않기 때문에 전반적인 내용에 대해서 다루지는 않고, 작성시 가장 난감해 하는 축척의 기입과 주의사항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본문에서 사용한 백지도의 출처는 다음과 같습니다. ※ 국토지리정보원 어린지 지도여행: 지도체험교실 > 백지도 다운로드 http://www.ngii.go.kr/child/contents/contentsView.do?rbsIdx=33 축척 표시 백지도에 축척을 기입하는 것은 루트맵 작성자들이 매우 ..
자료집 편집의 업무는 한 부서가 전담하기에는 힘든 업무입니다. 더군다난 자료집 편집만을 전담하는 것이 아닌 이상 양질의 편집은 사실상 불가능 한 것이나 다름 없습니다. 이러한 자료집 편집의 양식을 체계화 하여 모두에게 그 역할을 분담하게 하자고 건의가 나온것이 언제부터인지는 모르겠지만 이것이 시도된 것은 2006년도의 지호철 학형('05)이 작성한 자료집 양식 규범입니다. 이것을 처음으로 적용하여 시도한 것이 2007년도 춘계의 자료집 편집이었고, 그 결과는 대실패로 씁쓸한 결과를 내놓았습니다. 춘계자료집의 실패의 원인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우선 이전까지의 편집양식이 계속 개선되다 보니 체계화하기가 힘들었으며, 작성된 자료집 양식 규범이 매우 간결하여 한글시리즈에 대한 사전 지식이 많이 필요하다보니, 어..